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루스벨트 2

민주사회주의는 생태사회주의다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29)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며칠 전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에서 기후 온난화에 대해 남아공에서 이민 온 젊은 친구의 의견을 들을 기회가 있었다. 그는 남아공에서 고등학교 졸업 후, 곧바로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전기기사가 된 후 뉴질랜드로 이민 왔다. 다른 주제로 이야기를 하다 이 주제에 접어들었을 때, 그는 잘 모르는 상대방 앞에서 민감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꺼림칙하다는 표정을 지었지만, 이내 짧지만 강력하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다. 그의 의견을 요약하면, 화산 폭발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인간이 배출하는 양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그가 인용한 수치는 기억이 안 난다)로..

세상 이야기 2021.12.10

뉴딜(New Deal)의 21세기 의미는?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17)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에세이 중 기억에 남는 문장이 있다. “자유는 부를 생산하고 그 부는 자유를 파괴한다 (Liberty produces wealth and that wealth destroys liberty).” 좌파는 이 문장의 후반부에 등장하는 통제되지 않은 부의 축적과 분배 과정 탓에 인간, 특히 노동 계급이 경제적 자유를 포함한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없으므로 이 부의 축적과 분배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 변화를 요구한다. 이에 반해 경제적 자본가는 물론 정치적 리버럴은 이 ‘통제되지’ 않는 독립적 개인의 자유 덕분에 궁극적 자유의 기초가 되는 물질적 부가 가능하다는 ..

세상 이야기 2021.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