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세상 이야기 125

화려한 디지털 애플, 추악한 아날로그 폭스콘(2/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11)

4.3 생산관계 (Relations of Production) 자본과 노동의 관계는 (피) 지배 관계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자본주의에서 상품노동자가 가진 유일한 것은 노동력이다. 따라서, 그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임금 노동관계를 맺음으로써 자기 노동력을 파는 수밖에 없다. 기업감시단이 행한 조사에 따르면, 중국 애플 하청업체 공장에서 자본과 노동의 관계는 주로 불안정한 노동계약과 저임금으로 특징지어지며, 때때로 노동 투쟁을 통해 도전받기도 한다. 4.3.1 노동계약 (Labour Contracts) 노동자에게 최소한의 보호를 제공하는 노동계약은 고용주와 노동자 간 불평등 권력관계의 표현이다. 2004년, Institute for Contemporary Observation (ICO), FinnW..

세상 이야기 2023.10.22

화려한 디지털 애플, 추악한 아날로그 폭스콘(1/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11)

역자 머리말 이번 논문은 10여 년 전 세계를 들썩이게 만든 애플 하청업체 중국 폭스콘 공장의 열악한 노동 실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10여 년이 지난 2023년 현재, 논문에 서술된 실태와 현 상황 간에 다소 간극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2022년 정저우 공장의 노동자들이 공장 측의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억압적 봉쇄 정책에 항의하여, 무력으로 공장 단지를 탈출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노동 환경은 본질적으로 큰 변화가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논문을 읽으면서 어쩌면 전혀 비교 대상이 되지 않을 것 같은 2010년경의 중국 노동 조건과 2023년 뉴질랜드 노동 조건이 이상할 정도로 겹쳐서 다가왔다. 폭스콘 공장 단지는 식당, 우체국과 은행 그리고 수영장이 있을 만큼 겉보기에는 원스톱 생활권을..

세상 이야기 2023.09.24

세계화 시대의 플랫폼 제국주의 건설 (2/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10)

5 거대한 미국의 힘과 플랫폼 제국주의 (Great American Powers and Platform Imperialism) 5.1 플랫폼 제국주의란 무엇인가? (What is Platform Imperialism?) 플랫폼이라는 용어는 자기 특성화 측면 그리고 이용자들의 폭넓은 대중 담론, 언론과 논평 측면 모두에서 최근 콘텐츠 중개업체들의 온라인 서비스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등장했다. 사람들은 플랫폼이라는 용어를 특정 앱 혹은 운영체제의 디자인과 이용을 지원하는 인프라라는 계산적 의미와 연관시키지만, 플랫폼 개념은 서로 다른 하지만 연결된 세 가지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첫째, 플랫폼은 하드웨어 건축물일 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기도 하다. 둘째, 플..

세상 이야기 2023.09.16

세계화 시대의 플랫폼 제국주의 건설 (1/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10)

역자 머리말 이번 챕터는 반갑게도 저자가 한국 출신이다. 현재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Simon Fraser University의 커뮤니케이션 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아래 비디오는 이 논문의 주제를 놓고 강연하는 내용이다. 유감스럽게도 영어다. 번역하면서 나 자신도 헷갈린 적이 있는데, 미디어(media)와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관계다. 사전적 측면에서 접근하면 미디어는 수단(tool)이고 커뮤니케이션은 기능(function)으로 간단히 구분할 수 있는 차이가 존재한다. 즉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이 미디어다. 하지만 학자에 따라, 문맥에 따라 그렇게 클리어 컷이 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문화제국주의를 논할 때 빠짐없이 등장하는 사례가 미국의 영화 산업인데 이 논문에 인..

세상 이야기 2023.09.03

자본주의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상품화 (5/5)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9)

역자 머리말 ‘Social Factory’는 사회적 공장으로 번역하기보다는 ‘사회공장’으로 번역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물리적) 공장의 전 사회 영역으로의 확장을 의미하기 때문에 사회의 공장화라는 측면에서 사회공장이기 때문이다. ‘Communication’은 대부분 ‘커뮤니케이션’으로 번역했지만, 문맥에 따라서는 ‘통신’으로 번역하기도 했다. 하지만 한국어의 ‘의사 전달’ 혹은 ‘의사소통’이라고는 번역하지 않았다. 주관적이겠지만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단어가 가진 의미 혹은 뉘앙스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느낌이 있기 때문이다. 단어 ‘enclosure’ 역시 ‘인클로저’로 발음 표현을 그래도 사용했다. 13세기 영국에서 목축업의 대규모화를 위해 소규모 토지를 합병/몰수한 것을 시점으로 18세기까지 소유권..

세상 이야기 2023.08.26

자본주의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상품화 (4/5)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9)

역자 머리말 이번 챕터 번역을 하면서 아도르노가 1947년에 발표한 도구적 이성(instrumental reason) 비판을 다시 둘러보게 되었다. 번역에 앞서 나무위키를 중심으로 그의 도구적 이성 비판을 짧게 정리 해본다. 누구나 쉽게 말하듯 우리는 ‘객관적’ 이성을 추구해야 한다. 그런데 초기의 객관적 이성은 ‘비판적’이고 ‘반성적 합리성’을 추구하는 ‘사변적’ 이성이었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서 이 이성은 절대화, 형식화, 가치 중립화되면서 반성과 비판은 실종되고 주체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제일 가치로 추구하는 이성의 도구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아도르노는 이런 경향에 반대하여 막스 베버와 같은 이들이 말한 학문과 이론의 가치중립이라는 명분을 내건 이성이 아니라, 그 속에 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비판'..

세상 이야기 2023.08.02

자본주의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상품화 (3/5): 미국의 신제국주의 전략, 통신과 정보의 상품화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9)

3.2 사회 변혁과 정보 혁명의 변증법 (The Dialectics of Social Trans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Revolution) “몇 성공적 변증법의 특징은 충격, 놀라움 그리고 선입견의 잠식이다.” 프레드릭 제임슨(2007) 어떤 식으로든 자본주의 생산과 축적(물질적 기반)과 관련된 부분으로서 문화, 정보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의 출현을 추적하는 역사적 설명은 통상 20세기 후반까지만 거슬러 올라간다. 이 역사적 시기에 적대적 계급 관계는 폐지되고, 노동-자본 관계를 완전히 바꾸는 정보화 사회가 등장하면서 과거와는 단절된 급진적인 사회경제 변혁이 있었다고들 이야기한다. 정보화 사회와 탈산업 사회 개념을 발전시킨 이들은 이런 급진적 역사적 단절에 기여한 몇 메커니즘을..

세상 이야기 2023.06.05

자본주의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상품화 (2/5): 상품 물신성 그리고 끊임없는 상품화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9)

역자 머리말 이 글의 원문에는 ‘commodity fetishism’이라는 용어가 수시로 등장한다. ‘Commodity’는 ‘상품’이라는 한국어로 주저함 없이 번역할 수 있었는데 ‘fetishism’은 주저했다. 왜냐하면 나에게는 이번 글의 번역 용어, ‘물신성’(物神性)이란 어려운 용어 대신 ‘페티시즘’이란 단어가 더 익숙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페티시즘이라고 번역했을 때 문제는 페티시즘이라는 용어가 갖는 두 가지 의미 중 물신숭배라는 의미가 아닌 다른 의미, 즉 성적 페티시즘을 먼저 연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었다. 나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학문을 하지 않는 일반 현대인에게 페티시즘이란 용어는 사람이 아닌 물건이나 특정 신체 부위 등에서 성적 쾌감을 얻으려는 경향으로 먼저 다가갈 것이다. 이런 연유로 이번..

세상 이야기 2023.05.10

자본주의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상품화 (1/5)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9)

역자 머리말 이번에 번역할 챕터의 원문 길이는 89 페이지이다. 물론 각 페이지 하단 주석과 뒤의 인용 자료를 포함한 길이이기 때문에 이들을 생략한 번역문은 이보다 훨씬 짧아지겠지만, 다른 챕터의 논문들과 달리 주제에 대한 전반적 고찰을 담고 있음을 암시한다. 특히 이 논문은 ‘상품’(commocity)과 ‘상품화’(commodification)라는 개념이 맑스의 자본주의 분석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 천착한다. 이에 따라 현대 자본주의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상품화에 대한 국소적 집중과 분석이 아닌 상품 그리고 상품화 개념에 대한 전반적 고찰에 논문의 상당 부분을 할애한다. 맑스의 자본주의 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는 독자에게는 기초적이고 반복되는 내용일지 모르지만 나에게는 인식을 점검하는 좋은 시간이었다..

세상 이야기 2023.02.28

계급의 시대는 가고 네트워크의 시대가 도래했는가? (2/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8)

네트워크의 사각지대: 배제, 착취 그리고 맑스의 과정-관계적 존재론 (The Network’s Blindspot: Exclusion, Exploitation and Marx’s Process-Relational Ontology) Robert Prey 3. 맑스의 과정-관계적 존재론(Marx’s Process-Relational Ontology) 우리는 맑스를 왜 과정-관계 사상가라고 할 수 있는가? 맑스의 과정-관계적 존재론은 마누엘 카스텔과 같은 네트워크 이론가들의 사고와 어떻게 다른가? 이어지는 글에서 나는 맑스가 ‘생산’(production)이라는 카테고리를 통해서 과정 철학을 구체화하는 과정과, 그가 강조한 것은 그냥 관계가 아니라 내적 관계임을 밝힘으로써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시도할 것이다. 이..

세상 이야기 2023.01.16

계급의 시대는 가고 네트워크의 시대가 도래했는가? (1/2)-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8)

역자 머리말 이번 챕터의 소개 제목으로 자극적 대조법을 사용했다. 즉 계급의 ‘수직적’ 특성/이미지와 네트워크의 ‘수평적’ 특성/이미지를 대조시켰다. 21세기, 산업과 일상생활의 디지털화가 하루가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 사회 구조도 과거 굴뚝 산업 시대와 다른 모습으로 변모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학적으로 관심이 집중되는 대목은 그렇다면 ‘계급’이라는 사회학적 개념도 굴뚝형 2차 산업 시대를 반영한 구시대 개념이기 때문에 역사의 뒤편으로 넘기고, 디지털화된 21세기 산업 사회를 반영하는 새로운 시대적 개념을 생성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이번 챕터는 이 관전 포인트를 염두에 두고 읽는 것이 필요하다. 사실 이 관전 포인트는 21세기 사회를 이해하려는 많은 좌파 학자들의 글을 ..

세상 이야기 2022.12.11

페이스북에서 우리는 노는 것일까 일하는 것일까?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7)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오늘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페이스북 계정을 삭제했다. 만들어 놓고 몇 개 포스팅하다가 이후 방치한 계정이었는데, 등록된 메일 주소로 어제부터 페이스북을 통해 광고가 들어 오기 시작했다. 다른 광고도 아니고, 윤석열 김건희 지지 모임 홍보였다. 광고치고 반가운 광고가 있겠냐마는 정말 재수 없는 광고라 즉흥적으로 계정 자체를 삭제했다. 소셜미디어의 대명사 격인 페이스북이지만, 이제는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그 명성이 퇴색한 느낌이다. 심지어 ‘아재들의 플랫폼’이라는 호칭까지 듣고 있다. 그리고 이 느낌이 근거 없는 느낌은 아닌 것 같다. 싱가포르에 베이스를 두고..

세상 이야기 2022.08.31

신속한 자본 순환을 위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2/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6)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1편에서 단어 미디어(media)를 우리가 일상생활에 흔히 사용하는 정보를 전달(혹은 주고받는)하는 신문 / 영화 / 텔레비전 등과 같은 매스미디어 의미로 국한하여 이해하지 말고, 단어의 원래 의미인 어떤 사건이나 현상을 전달하는 매개체, 즉 수단 혹은 도구의 의미로 폭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었다. 커뮤니케이션 역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인간의 의사나 감정을 전달하는 의사소통의 의미에서 벗어나 원래의 의미대로 폭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전달, 통신 그리고 교통의 의미로까지 확대된 의미를 가..

세상 이야기 2022.08.15

신속한 자본 순환을 위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1/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6)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소개말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미디어’라고 하면 방송과 신문과 같은 언론(the press 혹은 mass media)을 의미한다. 이 책의 다른 챕터에서도 미디어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개념과 맞물려, 많은 경우 언론 혹은 의사소통 수단의 의미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 챕터에서 미디어는 말 그대로 매개체라는 뜻을 가진 medium의 복수형 media이다. 따라서 이 챕터에 등장하는 media는 대부분의 경우 ‘매체’로 번역되었으며 언론/의사소통 수단의 의미를 가질 경우 미디어로 번역했다. 또 단어 ‘circulation’은 대부분 경우 ‘순환’으로 ..

세상 이야기 2022.08.06

인터넷과 “마찰 없는 자본주의”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5)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많은 경우 문맥의 흐름을 위해 원문의 네트워크(network)를 인터넷(internet)으로 번역했다. 여전히 네트워크로 번역된 용어도 많은 경우 인터넷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간주해도 될 것이다. 저자 Jens Schröter는 Bonn 대학에서 미디어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 인터넷과 “마찰 없는 자본주의” (The Internet and “Frictionless Capitalism”) Jens Schröter 1 서문 (Introduction) 1989/90년 이후, 두 측면에서 인터넷..

세상 이야기 2022.06.29

원시적 축적의 조연이자 주연으로서의 미디어/커뮤니케이션(2/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4)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지난번 포스팅이 5월 8일에 이루어졌으니까 한 달여가 지났다. 그동안 몸이 많이 안 좋았다. 장 쪽 트러블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증상으로 인해 밤에 제대로 잠을 이룰 수 없는 까닭에 낮에 극심한 피곤 상태가 지속하였다. 게다가 계속 문제가 되어 온 잇몸/치아 질환이 더욱 악화되어 몇 주간은 진통제에 의존할 정도였다. 뉴질랜드에서 내과 전문의와 치과를 여러 차례 방문하면서 치료를 시도해 보았지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개인 의료보험에 가입해있음에도 뉴질랜드 의료비는 국립 병원 서비스를 받지 않는 한 여전히 비싸고 의료 서비스도 제한적이다. 치과 치료도..

세상 이야기 2022.06.09

원시적 축적의 조연이자 주연으로서의 미디어/커뮤니케이션(1/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4)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소개말 이 챕터에서 저자는 맑스의 ‘원시적 축적’ (primitive accumulation) 개념이 후기 자본주의의 자본 축적 패턴으로 여전히 작동함을 지적한다.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는 19세기 맑스의 이 개념을 ‘강탈에 의한 축적’(accumulation by dispossession)이라는 21세기 개념으로 업데이트하여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시대의 자본 축적 논리를 분석했다. 저자는 하비의 이 통찰을 기반으로 현재 자본주의 사회의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이 자본가의 자본 축적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분석한다. 저자 Mattias Ekman..

세상 이야기 2022.05.08

분산미디어 시대, 맑스주의의 중요성(3/3)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3)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디지털 맑스: 분산미디어의 정치경제학을 향하여 Digital Marx: Toward a Political Economy of Distributed Media Andreas Wittel 6. 가치 (Value) 노동 개념의 복잡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가치로 눈을 돌려야 한다. 노동과 마찬가지로 가치도 사회적 연구의 광대한 영역이다. 가치는 많은 의미와 관점을 가진 용어이고, 수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쉽게 산만해지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놓치기 쉽다. 그렇다면 미디어 정치경제학에서 가치의 중요한 부분은 무엇일까? 이것이 첫 번째로 다뤄져야 할 ..

세상 이야기 2022.05.02

분산미디어 시대, 맑스주의의 중요성(2/3)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3)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이번 글은 우리 주변에서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일반인의 디지털 커뮤니티 참여와 관련된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고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뿐만 아니라, 이 글이 업로드된 네이버나 다음 블로그 역시 상업적 디지털 커뮤니티의 일종이다. 나는 이 블로그를 나의 학습 목적으로 운용하지만, 네이버나 다음은 블로그를 상업적 목적으로 운용한다. 내가 업로드한 포스팅이 많아지고 클릭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들은 광고 수익을 더 올릴 것이다. 그렇다면 나의 글쓰기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디지털 기업의 이익과 자본축적을 위한 ‘노동’이..

세상 이야기 2022.04.29

분산미디어 시대, 맑스주의의 중요성(1/3)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3)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특별히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에 학술적 관심을 가지지 않은 일반인도 지난 몇십 년 사이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지형에 큰 변화가 있음을 피부로 느낄 수 있다. 과거에는 방송(라디오와 티브이)과 인쇄 출판물(신문, 잡지, 책 등)과 같은 미디어(매체)가 없었으면 가능하지 않았지만, 이제 누구나 자신의 목소리를 원한다면 대중에게 어렵지 않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블로그 글들도 과거 같으면 기껏해야 잡지의 독자 기고란 정도가 유일한 전달 통로였을 것이다. 이처럼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미디어)가 다분화된 현재의 미디어 지형을 우리는 분산미디어(Distrib..

세상 이야기 2022.04.26

맑스주의의 인터넷 연구 동향(3/3)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2)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맑스주의 인터넷 연구를 향하여 Towards Marxian Internet Studies Christian Fuchs 8. 비판적 연구에 대한 비판 ‘비판적 인터넷 연구’(Critical Internet Studies)에서 맑스주의 개념의 사용은 두 주요 전략적 접근의 반대에 부딪힌다: (1) 반-맑스주의, (2) 자본주의 지배 이데올로기 밑으로 맑스주의 개념의 포섭. 이 두 접근은 모두 기업의 인터넷 통제에 대한 대안을 거부한다. 첫 번째, 반공산주의(반-맑스주의) 접근은 Andrew Keen과 Josh Lanier가 대표한다. 책 ‘The Cult of the Ama..

세상 이야기 2022.04.23

맑스주의의 인터넷 연구 동향(2/3)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2)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이번 번역은 두 섹션으로 구성되었다. 섹션 6은 비판적 인터넷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맑스주의 개념 11개에 대한 소개이며, 섹션 7은 소셜 미디어에서 이루어지는 소위 ‘디지털 노동’을 둘러싼 개념들을 고찰한 글이다. 다소 긴 번역 포스팅이지만, 섹션 6은 11개 개념(굵은 활자체) 별로 문단이 나누어져 있고, 섹션 7 역시 소제목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가독성 면에서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희망적으로 생각해 본다. 섹션 6의 굵은 활자체와 섹션 7의 소제목은 내가 임의로 추가한 것이다. ============================== 맑스주의 인터넷..

세상 이야기 2022.04.21

맑스주의의 인터넷 연구 동향(1/3)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2)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문외한으로서 대중 독자를 위한 친절한 개론으로 책이 시작할 것이라는 기대가 깨지는 데는 채 몇 분이 걸리지 않았다. 아래 에세이는 대단히 이론적이며 학술적이고, 엄격한 논문 규칙을 따른 글이다. 저자는 글의 진행 과정에서 인용처를 매번 꼬박꼬박 밝혔다. 하지만 이어지는 나의 번역은 이 학문적 엄격성에 연연하지 않고 저자가 전달하려는 메시지에 집중하고자 했다. 많은 경우 저자가 표기한 인용처를 생략했다는 의미다. 따라서 저자가 인용한 다른 학자의 생각이나 표현도 마치 저자가 이야기한 것처럼 번역되기도 했다. 학계 관행상 용납될 수 ..

세상 이야기 2022.04.16

맑스가 돌아왔다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1)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책의 공동 편집자이자 책에 포함된 별도의 에세이 기고가이기도 한 서문의 저자들 소개로 시작한다. Christian Fuchs(크리스천 푸흐스)는 오스트리아의 사회학자다. 그의 이름은 영어식으로 발음하면 퍽스이지만, 오스트리아식으로 발음하면 푸흐스다. 현재 런던 University of Westminster의 교수로서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 사회학을 전공하고 있다. 그는 또 ‘tripleC: Communications, Capitalism & Critique’라는 개방형 온라인 저널의 운영자이기도 하다. 이 저널을 통해 그는 자본주의 내 커뮤니케이..

세상 이야기 2022.04.09

디지털 자본주의 시대의 맑스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프롤로그)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몇 주 전, 지인과 식사 약속을 위해 한 식당을 검색하는 도중 과거 내가 몇 일, 몇 시에 그곳을 방문한 적이 있음을 구글이 알려주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다. 그런데 내 주변을 둘러보면 내가 그렇게 놀랄 일이 아니다. 나는 g-mail을 주 통신 수단으로 사용하고, 유튜브를 매일 보며, 크롬 웹브라우저를 이용하고, 운전 목적지까지 안드로이드 폰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하며, 내 문서작업을 클라우드에 보관한다. 모두 구글이 제공하는 서비스다. 구글은 내가 무슨 동영상을 좋아하는지, 누구와 친한지, 어디를 자주 방문하는지 모두 기록하고 있다. 내가 감추려 해..

세상 이야기 2022.04.06

행복에 대한 전체론적 접근을 생각하다 - 부탄을 중심으로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지난 3월 18일, UN 산하 기구인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SDSN)(한국 미디어에서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라고 번역해서 사용하는데 입에 잘 감기지 않는다)에서 ‘2022년 세계 행복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 2022)를 발표했다. 2012년에 처음 등장한 이 보고서는 따라서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셈이다. 이 행복보고서 혹은 행복 지수(Happiness Index)는 히말라야산맥 중턱에 위치한 작은 나라 부탄이 물질적으로 풍요하지 않지만,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라는 전설 같은..

세상 이야기 2022.03.31

한국에서 절망의 눈물이 떨어질 때 칠레에는 희망의 싹이 트다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지난주, 한국에서 절망의 눈물이 떨어질 때 지구 반대편 칠레에서는 희망의 싹이 텄다. 한국식 사회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것처럼 보였던 대통령 후보가 한국 대선에서 어처구니없는 좌절을 겪은 날 이틀 뒤, 반-신자유주의를 기치로 내세운 학생운동권 출신 36세 가브리엘 보리치(Gabriel Boric)가 칠레 대통령에 취임했다. 박정희/전두환과 피노체트라는 군사 독재로부터 각각 1987년과 1990년에 민정으로의 이양이라는 비슷한 정치 역사를 가진 한국과 칠레다. 두 나라는 민정 이양 후 소위 보수와 진보 정당이 번갈아 집권하고, 경제적으로도 비약적 발전을 이룩하면서 선진..

세상 이야기 2022.03.17

우크라이나 난민 사태로 본 백인 민족주의 인류애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지난 2월 24일 시작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3월 4일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여전히, 피난민의 행렬이 이웃 나라인 폴란드와 루마니아에 이어지고 있디. 관련 소식을 훑어보던 중 흥미로운 트윗 기사를 보았다. 우크라이나를 탈출하려고 차량으로 대기 줄을 서 있는 흑인 여성 운전자에게 우크라이나 백인이 “백인만 가능하다. 저리 가라”라고 위협하는 장면이다. 이처럼, 우크라이나 일부 국민뿐만 아니라 군대 차원에서도 우크라이나를 탈출하려는 아프리카인, 인도인 등 유색 인종을 상대로 차별 행위가 있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유엔 난민기구 사무총장도 차별이 있..

세상 이야기 2022.03.05

막시스트가 바라본 우크라이나 사태의 본질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현재 우크라이나에서는 인류 역사에서 반복되어 발생하는 전쟁으로 인한 비극이 진행 중이다. 코로나로 야기된 전 세계적 질병 재앙도 이 인간의 탐욕으로 야기된 전쟁은 막을 수 없었다. 마스크를 쓴 군인은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마스크를 쓰고서라도 전쟁을 할 기세다. 하기야 눈앞에 죽음이 오가는 마당에 보이지 않는 코로나바이러스를 걱정하는 것은 사치에 가까운지 모른다. 한국 대선에서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상대방 비방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사태 초반, 이재명 측에서는 우크라이나 초보 정치인 젤렌스키의 국제 정치 감각 미숙함을 이 사단의 한 원인으로 지목하여, ..

세상 이야기 2022.03.03

막시스트가 바라본 2022년 2월의 세계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지난 1월, 미국과의 국경을 넘나들며 운전하는 캐나다 트럭 운전사에 대한 백신주사 의무화에 반대하는 시위(Freedom Convoy)를 필두로, 지금까지 세계 여러 곳에서 이 백신 의무 접종 의무화에 대한 동조 반대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옆 나라 호주를 포함해 뉴질랜드에서도 웰링턴 의회를 중심으로 연대 랠리가 이어지고 있다. 개인적으로 뉴질랜드에서 벌어지는 시위에 참여한 적이 없다. 블로그를 둘러본 분들을 느끼겠지만, 나 같은 ‘프로불편러’는 어쩌면 시위에 참가했어도 아주 많이 했어야 한다. 그런데도 영어가 여전히 서툴다는 이유로, 백인과 마오리 사이에서 ..

세상 이야기 2022.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