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강탈에 의한 축적 2

원시적 축적의 조연이자 주연으로서의 미디어/커뮤니케이션(2/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4)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지난번 포스팅이 5월 8일에 이루어졌으니까 한 달여가 지났다. 그동안 몸이 많이 안 좋았다. 장 쪽 트러블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증상으로 인해 밤에 제대로 잠을 이룰 수 없는 까닭에 낮에 극심한 피곤 상태가 지속하였다. 게다가 계속 문제가 되어 온 잇몸/치아 질환이 더욱 악화되어 몇 주간은 진통제에 의존할 정도였다. 뉴질랜드에서 내과 전문의와 치과를 여러 차례 방문하면서 치료를 시도해 보았지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개인 의료보험에 가입해있음에도 뉴질랜드 의료비는 국립 병원 서비스를 받지 않는 한 여전히 비싸고 의료 서비스도 제한적이다. 치과 치료도..

세상 이야기 2022.06.09

원시적 축적의 조연이자 주연으로서의 미디어/커뮤니케이션(1/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4)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소개말 이 챕터에서 저자는 맑스의 ‘원시적 축적’ (primitive accumulation) 개념이 후기 자본주의의 자본 축적 패턴으로 여전히 작동함을 지적한다.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는 19세기 맑스의 이 개념을 ‘강탈에 의한 축적’(accumulation by dispossession)이라는 21세기 개념으로 업데이트하여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시대의 자본 축적 논리를 분석했다. 저자는 하비의 이 통찰을 기반으로 현재 자본주의 사회의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이 자본가의 자본 축적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분석한다. 저자 Mattias Ekman..

세상 이야기 2022.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