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개혁주의 3

사회민주주의(Social Democracy)를 위한 변명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13)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오래 전이지만 꽤 재미있게 읽었던 책이 있다. 1992년부터 2008년까지 약 15년에 걸쳐 매해 한 권씩 간행된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15권이다. 저자의 모국인 일본보다 한국에서 더 인기를 끌었다고 하니 많은 분이 이 책을 읽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내가 이 책에 매료된 이유는 저자 시오노 나나미의 세계관이나 개인적 품성이 아니라 바로 그녀의 글쓰기 방식이다. 이 블로그의 적지 않은 포스트 제목이 ‘..... 이야기’인데, 의식적으로 그렇게 제목을 정했다고 생각한 적이 없었는데 이 머리말을 쓰면서 생각해 보니 로마인 ‘이야기’의 영향이 있었..

세상 이야기 2021.08.15

사회민주주의를 뛰어넘어 (下) - 대안시리즈 13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이 있읍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그렇다면 사회주의 관점에서 사회민주주의를 뛰어넘으면 무엇이 있단 말인가? 이 질문에 대해 오랜 기간 많은 다른 대답들이 있었다. 주요 대답 중 하나는 레닌주의에 영감을 받은 것으로 “전위(vanguard)”당의 건설과 육성이다. 이 전위당은 “민주집중주의(democratic centralist)”의 노선에 기반을 단단히 두면서 생산 시점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사회의 다른 모든 긴장 지점에서의 일상적 계급투쟁에 관여한다. 이 전위당은 자본주의 위기는 궁극적으로 통제될 수 없는 시점에 반드시 도달할 수밖에 없으며 그 결과 현 정치 시스템의 영..

세상 이야기 2020.07.30

어떤 정당이 우리에게 필요할까? - 대안 시리즈 6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지난 몇 달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이슈들로 블로그가 채워지고 있다. 이전부터 사회학적 주제에 대해 관심이 있던 차에 이번 팬데믹은 나로 하여금 사회학의 주요 주제라 할 수 있는 계급,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그리고 대안적 사회주의 등의 개념에 대해 정면으로 부딪치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날이 갈수록 독서와 사고에서 긴 호흡이 잘 안된다는 것을 핑계로 상대적으로 쉽게 소화하기 쉬운 짧은 article 혹은 essay 형식의 글만을 선별 섭렵하는 경향을 보인다. 깊이가 없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는 건강..

세상 이야기 2020.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