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기생충 2

기생충과 오징어 게임의 성공에 대한 단상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이전 포스트’ 껍데기 민주주의, 위로부터 사회주의는 가라’에서 영감을 받아, 그동안 미뤄왔던 기생충과 오징어 게임의 세계적 히트에 대한 내 생각을 간단히 정리해 본다. 에세이에서 저자는 자본주의의 등장과 함께 경제적 권력과 정치적 권력이 분리되고, 경제적 권력이 사회적 권력의 주축으로 자리 잡았음을 이야기한다. 이 분리를 통해 정치적 권력은 정치적 민주주의의 외연 확대 - 가령 보통 선거권 -라는 일정 성과를 얻었지만, 경제적 권력은 경제적 민주주의를 가져오지 못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경제적 권력이 자본가에 있기 때문이다. 기생충에 이어 오징어 게임의 연이은 세계적 히..

한국 이야기 2021.11.28

꼰대와 어르신의 Dynamics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느 정도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를 권장합니다. 꼰대와 어르신의 Dynamics 머리말 이번 주초 미국 LA에서 열린 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주요상이라 할 수 있는 각본상 감독상 작품상을 거머쥠으로써 한국 영화뿐만 아니라 세계 영화계에서도 기념비적인 사건이 되었다. 개인적으로 같은 영화를 두 번 보지 않는데 기생충은 이미 두 번보았고 아마 한번 쯤 더 볼 것 같다. 이날 시상식 중 많은 사람에게 회자되는 장면은 감독상 수상 소감 때 봉준호 감독이 자신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영화계 선배이자 영화 ‘ The Irishma..

한국 이야기 2020.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