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시장사회주의 2

시장사회주의에 대하여 - 민주사회주의 이야기 (8)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시장사회주의’(Market Socialism)란 개념은 정통 사회주의자를 자처하는 일부 좌파에게 ‘개량주의’ 혹은 ‘수정주의’란 표현을 들으면 다행이고, 많은 경우 부르주아적 혹은 반 막시즘이란 혹독한 비난을 듣는다. 하지만 시장사회주의 이론은 매우 폭넓은 스펙트럼을 가졌다. 따라서 경제시스템에 시장이란 용어 혹은 원리가 포함되었다고 듣자마자 무조건 경기를 일으키며 반대할 일은 아니다. 민주사회주의자들이 신경 쓸 대목은 경제시스템 내에 시장 개념이 들어가 있는지가 아니라, 시장이 시스템 내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어떤 역할을 하는가이다. 현재 중국은 ‘사회주의..

세상 이야기 2022.01.08

시장사회주의란 무엇인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21)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다시 민주사회주의 담론의 세계로 돌아와 기분이 좋다. 특히 이번 에세이는 탈 자본주의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이들이 반드시 거쳐 가야 할 관문 같은 시장사회주의 이론이라 더욱 반가웠다. ​저자가 지적하듯 원칙적으로 ‘계획’(plan)과 ‘시장’(market), 다른 표현으로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이분법적 구분에서 출발했지만, 오늘날 세계 각국의 경제는 어떤 형식으로든지 이 둘의 혼합처럼 보인다. 혼합경제로 불리는 이 경제시스템은 계획과 시장을 양 끝 점으로 하는 선분의 중간 한 지점에 놓인다. 국가마다 이 지점이 계획(사회주의) 끝점으로 치우칠 수도, ..

세상 이야기 2021.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