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정치경제학 2

페이스북에서 우리는 노는 것일까 일하는 것일까?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7)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오늘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페이스북 계정을 삭제했다. 만들어 놓고 몇 개 포스팅하다가 이후 방치한 계정이었는데, 등록된 메일 주소로 어제부터 페이스북을 통해 광고가 들어 오기 시작했다. 다른 광고도 아니고, 윤석열 김건희 지지 모임 홍보였다. 광고치고 반가운 광고가 있겠냐마는 정말 재수 없는 광고라 즉흥적으로 계정 자체를 삭제했다. 소셜미디어의 대명사 격인 페이스북이지만, 이제는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그 명성이 퇴색한 느낌이다. 심지어 ‘아재들의 플랫폼’이라는 호칭까지 듣고 있다. 그리고 이 느낌이 근거 없는 느낌은 아닌 것 같다. 싱가포르에 베이스를 두고..

세상 이야기 2022.08.31

분산미디어 시대, 맑스주의의 중요성(1/3)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3)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특별히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에 학술적 관심을 가지지 않은 일반인도 지난 몇십 년 사이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지형에 큰 변화가 있음을 피부로 느낄 수 있다. 과거에는 방송(라디오와 티브이)과 인쇄 출판물(신문, 잡지, 책 등)과 같은 미디어(매체)가 없었으면 가능하지 않았지만, 이제 누구나 자신의 목소리를 원한다면 대중에게 어렵지 않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블로그 글들도 과거 같으면 기껏해야 잡지의 독자 기고란 정도가 유일한 전달 통로였을 것이다. 이처럼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미디어)가 다분화된 현재의 미디어 지형을 우리는 분산미디어(Distrib..

세상 이야기 202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