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공산주의 3

민주사회주의 관점에서 본 서구 사회주의 운동 간략사 - 민주사회주의 이야기 (3)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서구 사회주의 사상사와 운동사를 제대로 섭렵하지도 못한 주제에, 그 역사를 간략한다는 제목으로 글 쓴다는 것이 겁이 난다. 그럼에도, 민주사회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 역사에서 사회주의 운동이 어떤 흐름으로 전개되어왔는지에 대한 대략적인 윤곽 정도는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책에 서술된 내용을 중심으로 이 장을 시도한다. 시도라고 하지만 책의 각 챕터에 소개된 내용을 짜깁기하는 형식이다. 따라서 일관성 있고 촘촘한 역사 서술과는 거리가 먼 단편적이고 불균형적 글임을 미리 자인한다. 자본주의는 사회주의자들에게 항상 골칫거리였지만, 동시에 존재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사..

세상 이야기 2022.01.03

우리는 왜 ‘사회주의’ 혹은 ‘공산주의’란 단어에 거부 반응을 보이는가? - 민주사회주의 이야기(2)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위 질문의 ‘우리’에서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성공적인 역사적 경험을 가지고 있는 유럽 일부 국가 대중은 아마 제외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을 제외한 많은 국가의 대중은 이전 포스트에서 인용한 뉴질랜드 국민당 의원들처럼, 공산주의는 물론 사회주의라는 용어에 대해 경기 반응을 일으킨다. 지난 70여 년, 세대에 걸친 반공 이데올로기에 노출된 남한 대중은 말할 나위도 없을 것이다. 더 나아가, 한국에서는 ‘노동자’와 ‘인민’이란 용어도 계급적 뉘앙스가 입혀져 이 용어를 구사하는 사람의 사상적 배경을 의심하기 조차한다. 이번 글은 남한 대중처럼 북한으로 현실화된 사회주의 ..

세상 이야기 2022.01.01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3)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소개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 Stephen Eric Bronner는 미국 뉴저지, 럿거즈 (Rutgers) 대학의 정치학 교수로 비판이론, 실존주의 그리고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에세이에서 인용된 ‘계급 이상(class ideal)’ 그리고 ‘세계시민적 감성 (cosmopolitan sensibility)’은 그가 생성한 개념이다. ​ 개인적으로 서론 포함 지금까지 읽은 이 책의 에세이 중 가장 숨차게 읽은 에세이다. 숨차게 읽었다는 의미는 내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처음 접했기에 ..

세상 이야기 2021.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