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마찰 없는 자본주의 2

인터넷과 “마찰 없는 자본주의”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5)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많은 경우 문맥의 흐름을 위해 원문의 네트워크(network)를 인터넷(internet)으로 번역했다. 여전히 네트워크로 번역된 용어도 많은 경우 인터넷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간주해도 될 것이다. 저자 Jens Schröter는 Bonn 대학에서 미디어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 인터넷과 “마찰 없는 자본주의” (The Internet and “Frictionless Capitalism”) Jens Schröter 1 서문 (Introduction) 1989/90년 이후, 두 측면에서 인터넷..

세상 이야기 2022.06.29

디지털 자본주의 시대의 맑스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프롤로그)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몇 주 전, 지인과 식사 약속을 위해 한 식당을 검색하는 도중 과거 내가 몇 일, 몇 시에 그곳을 방문한 적이 있음을 구글이 알려주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다. 그런데 내 주변을 둘러보면 내가 그렇게 놀랄 일이 아니다. 나는 g-mail을 주 통신 수단으로 사용하고, 유튜브를 매일 보며, 크롬 웹브라우저를 이용하고, 운전 목적지까지 안드로이드 폰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하며, 내 문서작업을 클라우드에 보관한다. 모두 구글이 제공하는 서비스다. 구글은 내가 무슨 동영상을 좋아하는지, 누구와 친한지, 어디를 자주 방문하는지 모두 기록하고 있다. 내가 감추려 해..

세상 이야기 202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