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혁명 4

막시스트가 바라본 2022년 2월의 세계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지난 1월, 미국과의 국경을 넘나들며 운전하는 캐나다 트럭 운전사에 대한 백신주사 의무화에 반대하는 시위(Freedom Convoy)를 필두로, 지금까지 세계 여러 곳에서 이 백신 의무 접종 의무화에 대한 동조 반대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옆 나라 호주를 포함해 뉴질랜드에서도 웰링턴 의회를 중심으로 연대 랠리가 이어지고 있다. 개인적으로 뉴질랜드에서 벌어지는 시위에 참여한 적이 없다. 블로그를 둘러본 분들을 느끼겠지만, 나 같은 ‘프로불편러’는 어쩌면 시위에 참가했어도 아주 많이 했어야 한다. 그런데도 영어가 여전히 서툴다는 이유로, 백인과 마오리 사이에서 ..

세상 이야기 2022.02.15

폭력적 전복인가 평화적(?) 정권교체인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10)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소개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 로히니 헨스만(Rohini Hensman)은 스리랑카 타밀족 출신 이민자로서 현재 인도에 거주하며 저작 활동과 사회활동가로서 일하고 있다. 여러 저자의 기고문을 편집한 이런 종류의 책의 장점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저자들의 삶을 단편적으로라도 들여다보게 되면서 주제에 대해 더욱 풍성하고 입체적 - 지역, 젠더, 접근 방식 등 - 이해를 하게 된다는 점이다. 일단 저자는 여성이다. 그리고 스리랑카에서도 차별받는 소수 민족 타밀족이다. 또 가깝지만, 타밀족과는 일정 긴장 관계에 있는 인도에서 이민자로 살고 있다. 여성으로서 성차별에 대한 저..

카테고리 없음 2021.07.31

사회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리버럴 정치제도의 상관관계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8)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소개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 Peter Hudis는 미국 시카고에 있는 Oakton Community College의 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재 14권 예정의 로자 룩셈부르크 전집(The Complete Works of Rosa Luxemburg)의 주 편집자로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여담이지만 지난 2년 관련 글들을 읽으며 맑스 만큼 많이 등장하는 인물이 로자 룩셈부르크인데 그만큼 21세기 새로운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많은 이들에게 로자의 생각과 통찰력은 계속 곰 씹게 하는 깊이와 예지력이 있다는 느낌이다. ​ 이번 에세이가 책의 8번째 에세이다. 어떤..

세상 이야기 2021.07.22

혁명의 기운이 지금 느껴진다. 하지만 구질서는 반격할 것이라고 역사는 말한다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으로,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아래 기고문은 The Guardian에 실린 글로 영국의 상황을 무대로 팬데믹 이후 새로운 세계에 대한 강한 열망도 화장실 갔다 오기 전과 후가 다른 것처럼 팬데믹의 막판을 향해 가는 즈음에서 수구 세력에 의해 사그러질 수 있음을 경고한다. 그런데 전체적 그래프로 보면 대세 하락 - 정점에서는 하루 1천명 이상이 사망했다 - 막판이라고 할 수 있을 지 몰라도 인구 약 6천7백만 명의 영국(UK)은 5월 21일 현재도 하루 확진자 수가 2,615명 그리고 사망자 수가 338명을 기록 중일 정도로 한국이나 뉴질랜드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세상 이야기 2020.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