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인터넷 4

인터넷과 “마찰 없는 자본주의”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5)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많은 경우 문맥의 흐름을 위해 원문의 네트워크(network)를 인터넷(internet)으로 번역했다. 여전히 네트워크로 번역된 용어도 많은 경우 인터넷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간주해도 될 것이다. 저자 Jens Schröter는 Bonn 대학에서 미디어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 인터넷과 “마찰 없는 자본주의” (The Internet and “Frictionless Capitalism”) Jens Schröter 1 서문 (Introduction) 1989/90년 이후, 두 측면에서 인터넷..

세상 이야기 2022.06.29

원시적 축적의 조연이자 주연으로서의 미디어/커뮤니케이션(2/2)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4)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지난번 포스팅이 5월 8일에 이루어졌으니까 한 달여가 지났다. 그동안 몸이 많이 안 좋았다. 장 쪽 트러블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증상으로 인해 밤에 제대로 잠을 이룰 수 없는 까닭에 낮에 극심한 피곤 상태가 지속하였다. 게다가 계속 문제가 되어 온 잇몸/치아 질환이 더욱 악화되어 몇 주간은 진통제에 의존할 정도였다. 뉴질랜드에서 내과 전문의와 치과를 여러 차례 방문하면서 치료를 시도해 보았지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개인 의료보험에 가입해있음에도 뉴질랜드 의료비는 국립 병원 서비스를 받지 않는 한 여전히 비싸고 의료 서비스도 제한적이다. 치과 치료도..

세상 이야기 2022.06.09

맑스주의의 인터넷 연구 동향(3/3)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2)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맑스주의 인터넷 연구를 향하여 Towards Marxian Internet Studies Christian Fuchs 8. 비판적 연구에 대한 비판 ‘비판적 인터넷 연구’(Critical Internet Studies)에서 맑스주의 개념의 사용은 두 주요 전략적 접근의 반대에 부딪힌다: (1) 반-맑스주의, (2) 자본주의 지배 이데올로기 밑으로 맑스주의 개념의 포섭. 이 두 접근은 모두 기업의 인터넷 통제에 대한 대안을 거부한다. 첫 번째, 반공산주의(반-맑스주의) 접근은 Andrew Keen과 Josh Lanier가 대표한다. 책 ‘The Cult of the Ama..

세상 이야기 2022.04.23

맑스주의의 인터넷 연구 동향(1/3) - 디지털 자본주의 이해하기 (2)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문외한으로서 대중 독자를 위한 친절한 개론으로 책이 시작할 것이라는 기대가 깨지는 데는 채 몇 분이 걸리지 않았다. 아래 에세이는 대단히 이론적이며 학술적이고, 엄격한 논문 규칙을 따른 글이다. 저자는 글의 진행 과정에서 인용처를 매번 꼬박꼬박 밝혔다. 하지만 이어지는 나의 번역은 이 학문적 엄격성에 연연하지 않고 저자가 전달하려는 메시지에 집중하고자 했다. 많은 경우 저자가 표기한 인용처를 생략했다는 의미다. 따라서 저자가 인용한 다른 학자의 생각이나 표현도 마치 저자가 이야기한 것처럼 번역되기도 했다. 학계 관행상 용납될 수 ..

세상 이야기 2022.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