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블로그 변화
지난 5월 28일, 마지막 포스팅을 한 후 약 2주 동안 매달린 작업이 있었다. 다름아니라 지금까지 DAUM의 ‘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블로그를 통해서 포스팅한 대부분 글 - 마지막 포스트 포함 - 을 새로 만든 NAVER 블로그로 복사해 옮기는 작업이었다. 만 2년 가까이 사용한 DAUM 블로그이지만 아주 기본적인 편집기능조차 제대로 작동해주지 않는 까닭에 더 이상 불필요한 곳에 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참기 힘들어 NAVER에 같은 타이틀을 가진 블로그를 신설했다. 네이버는 지난 2주 사용해본 결과 워낙 상업적 성격이 강한 곳이라 홍보과 광고성 댓글이 많은 것을 제외하고는 최소한 DAUM과 같은 문제는 없었기에 사용자로서 만족한다.
이후 당분간은 다음과 네이버 양쪽 모두에 같은 시간으로 포스팅할 생각이지만 다음 블로그에는 편집을 위해 시간을 별도로 투자할 것 같지 않기에 좀더 나은 프레젠테이션을 기대하는 분들은 네이버 블로그를 이용하기 바란다. 마찬가지로 이전 포스트를 보실 분들에게도 네이버 블로그를 권장한다. 포스트를 복사해 옮기는 과정에서 다시 한번 오탈자 수정이 이루어졌고 좀 더 매끈한 편집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나은 프레젠테이션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앞으로 포스트에서 활용할 이전 포스트의 링크는 다음 블로그일지라도 네이버 블로그의 포스트 주소를 이용할 생각이다. 다음 블로그와 네이버 블로그의 링크는 아래와 같다.
번역 프로젝트 시작
2019년 ‘젖과 꿀이 흐르는 땅’ 번역 프로젝트에 이어 또 다른 번역 프로젝트에 도전하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 뉴질랜드의 역사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사회학적 이해를 위한 입문서로서 번역할 가치가 있었다면, 이번 번역할 책은 이 블로그의 탐사 주제 중 하나인 대안 사회에 관한 것이다. 블로그를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좌충우돌하는 식으로 대안 사회에 대한 ‘감’을 잡으려고 나름 애를 쓴 결과 ‘바로 이거야’라고 할 것까지는 아니지만 앞으로 당분간 집중적으로 공부할 대상은 선정한 것같다. 그 대상을 한 개념으로 표현한다면 ‘민주사회주의 (Democratic Socialism)’다.
지금까지 여러 포스트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이 개념을 접촉했지만 ‘제대로’ 코끼리의 모든 부위를 입체적으로 만지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다. 그래서 이런 나의 기대를 충족시켜줄 종합선물같은 입문서로 이전 포스트 ‘민주사회주의를 생각한다’에서 서평으로 소개한 책 ‘An Inheritance for Our Times: Principles and Politics of Democratic Socialism’ (우리 시대의 유산: 민주사회주의의 원칙들과 정치학)이다. 책의 대략에 대해서는 이 서평을 참조하기 바란다.
서론을 제외하고 30개의 소논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올해 안으로 번역을 마칠 목표를 세웠다. 따라서 앞으로 포스팅은 이 소논문들의 번역을 최우선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여유가 되면 다른 시사적 소재를 다룰 예정이다. 30개 소 논문의 제목은 아래와 같다.
I: The Principles of Democratic Socialism (민주사회주의의 원칙들)
1. The Three Spheres of Democratic Socialism (민주사회주의의 세 영역)
2. Essential Socialism (본질적 사회주의)
3. What Is Socialism?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4. Freedom and Democratic Socialism (자유와 민주사회주의)
5. The Democratic Socialist Imaginary (상상 속 민주사회주의)
6. Socialism or Barbarism (사회주의 혹은 야만상태)
II: Socialism’s Democratic Essence (사회주의의 민주적 본질)
7. Giving Socialism a Democratic Base (사회주의에 대한 민주적 기반의 제공)
8. Democratic Socialism and the Transition to Genuine Democracy (민주사회주의와 진정한 민주주의로의 이전)
9. Between Socialism and Socialists (사회주의와 사회주의자들 사이)
10. Marx and Engels on Socialism and How to Achieve It: A Critical Evaluation (사회주의와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에 대한 맑스와 엥겔스의 입장: 비판적 평가)
11. Marxism, Anarchism and Democracy (막시즘, 무정부주의 그리고 민주주의)
12. Socialism and Democracy (사회주의와 민주주의)
III: Socialism, Democracy and History (사회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역사)
13. Unheralded Battle: Capitalism, the Left, Social Democracy, and Democratic Socialism (예기치 않은 싸움: 자본주의, 좌파, 사회민주주의 그리고 민주사회주의)
14. What Democratic Socialism Means (민주사회주의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5. The Evolution of (Black) Communal Socialism ((흑인) 공동체 사회주의의 진화)
16. The Impossible History of Democratic Socialism: An American Tale (민주사회주의의 불가능한 역사: 미국 이야기)
17. Socialism, Capitalism and Democracy (사회주의, 자본주의 그리고 민주주의)
18. Sexual Difference and the Ethos of Democratic Socialism (민주사회주의의 성별 차이와 특질)
IV: Socialist Alternatives (사회주의적 대안)
19. Socialism and the Democratization of Finance (사회주의와 금융의 민주화)
20. Democratic Socialism, Socialist Feminism and the US Welfare State (민주사회주의, 사회주의적 페미니즘 그리고 미국 복지국가)
21. Marxist Market Socialism (막시스트 시장사회주의)
22. Fifty Shades of Red (50가지 빨간 색조)
23. Less Work for All! Reclaiming a Forgotten Socialist Aspiration (모두 적게 일하자! 잊혀진 사회주의자의 소망을 되찾아서)
24. Socialism Today (. . . and Tomorrow) (사회주의의 현재 (.... 그리고 미래))
V: Socialism and the Challenges of the Present (사회주의와 현재의 도전)
25. What Democratic Socialism Means Today (오늘날 민주사회주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26. Democratic Socialism for a Finite World (유한한 세계를 위한 민주사회주의)
27. Why Democracy and Socialism Need Anti-Racist Socialist Feminism (민주주의와 사회주의에 반인종차별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필요한 이유)
28. Democratic Socialism contra Populism (포퓰리즘에 반대하는 민주사회주의)
29. Toward an Eco-Socialist Democracy (생태사회민주주의를 향해서)
30. Can the Increasing Brutality of Capitalism Enable the Rise of Democratic Socialism? (증가하는 자본주의의 잔인함이 민주사회주의의 등장을 불러올 것인가?)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질적 평등, 그 이상의 것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1) (0) | 2021.06.21 |
---|---|
민주사회주의는 부활하는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서론) (0) | 2021.06.15 |
Marxist의 관료제 이해에 대한 간략 고찰 (下)- 관료주의 이야기 5 (0) | 2021.05.13 |
Marxist의 관료제 이해에 대한 간략 고찰 (上)- 관료주의 이야기 4 (0) | 2021.05.07 |
베버의 관료제 이론에 대한 간략 고찰 - 관료주의 이야기 3 (0) | 202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