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민주주의 5

민주주의는 민주사회주의의 시작이자 끝 - 민주사회주의 이야기 (5)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21세기 오늘날, 여전히 많은 이들이 사회주의에 질색하는 이유 중 하나는 사회주의는 독재주의라는 인식이 각인되어 있기 때문이다. 1917년 러시아에서 인류 역사상 최초로 그 현실 모습을 드러낸 이후, 중국을 포함해 오늘날까지 사회주의를 자처한 국가들치고 세계 대중에게 민주적 사회로 인식되는 나라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 결과, 1990년경 소련과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이 붕괴했을 때, 해당 국가의 많은 사람은 민주주의는 자본주의 국가의 정치 체제에서나 가능한 것으로 생각했다. 실제로 소련과 동유럽 대중은 붕괴 이후, 경제적으로 자본주의를 정치적으로는..

세상 이야기 2022.01.05

껍데기 민주주의, 위로부터 사회주의는 가라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26)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지난 6월, 현재의 재앙적 신자유주의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 탐구의 일환으로, 민주사회주의의 포괄적 이해를 위해 책 ‘An Inheritance for Our Times: Principles and Politics of Democratic Socialism’ (우리 시대의 유산: 민주사회주의의 원리들과 정치학) 번역을 시작했다. 휴가 기간 속도를 내기도 했다가 중간 다른 프로젝트에 매달리며 공백을 가지기도 했지만, 어느덧 막판에 이르렀다. 서론 제외 총 30개 에세이 중 이번 에세이를 제외하면 4개의 에세이만 남았다.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번역 작업의 장..

세상 이야기 2021.11.27

물질적 평등, 그 이상의 것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1)

(네이버포스트)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저자 Michael J. Thompson은 책의 공동 편집자로서 미국 뉴저지에 있는 William Paterson University의 정치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대 사회가 개인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형성하는지를 탐구하는 철학자이자 비평 이론가이다. 이 에세이는 철저한 고증과 논리에 입각한 학문적 논문이라기보다는 저자의 지론을 의식의 흐름에 따라 서술한 형식으로 나에게 비추어졌다. 따라서 독자는 저자의 의식 흐름을 잘 따라가야 그의 논지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데 나와 같은 입문자에게는 쉽지 않은 과제..

세상 이야기 2021.06.21

민주사회주의는 부활하는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서론)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An Inheritance for Our Times: Principles and Politics of Democratic Socialism (우리 시대의 유산: 민주사회주의의 원칙들과 정치학) Introduction (소개말)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지금처럼 소수 권력이 다수를 상대로 해진 적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어떤 왕도 교황도 그리고 (미국) 남북전쟁 후 호황기 산업계의 어떤 거물들도 우리 시대의 경제 엘리트들처럼 전 세계적 차원에서 인류의 운명을 재조직하고 결정하는 권력을 가져 본 적이 없다. 20세기, 소수를 위한 끝나지 않는 잉..

세상 이야기 2021.06.15

Marxist의 관료제 이해에 대한 간략 고찰 (下)- 관료주의 이야기 5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책을 번역하는 중에 정부에서 공공부문(public sector)에서 일하는 노동자 - 단순히 정부 직원만이 아니라 국립병원의 간호사, 의사와 같은 의료 인력, 경찰 그리고 교사 등도 포함되어 그 인원이 429,500명이나 된다 - 그중 연봉 6만 불 이상 그리고 10만 불 이하가 되는 사람들은 예외적 사유가 없는 한, 그리고 연봉 10만 불이 넘는 사람들은 앞으로 3년간 임금을 동결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는데 일주일 가까이 지난 지금도 노조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좌파 논객들 그리고 중립적 미디어에서도 정부의 이번 계획에 대한 비판을 이어가..

세상 이야기 2021.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