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오카시오 코르테즈 4

민주사회주의는 유색인종 여성으로부터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27)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페미니즘에 대한 이해가 일천한 까닭에 이번 번역은 힘들었다. 의례 그러했듯이 이해 못 하는 대목은 건너뛰고, 그나마 어렴풋이라도 이해 가는 부분 위주로 선별 의역했다. 에세이를 통해 저자는 급진적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현 자본주의 리버럴 선거 정치 제도에서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해 묻는다. 그러면서 이 불가능 테제가 어쩌면 가능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 주역은 계급 차별, 인종 차별, 여성차별(혐오)의 삼중고를 몸소 겪는 유색인종 여성들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여성들에 의해 반인종차별 사회주의 페미니즘, 즉 궁극적 해방적 사회주의(..

세상 이야기 2021.12.03

왜 사회주의는 민주사회주의가 될 수밖에 없는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14)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창피한 이야기이지만 사실 블로그를 시작하기 전까지 나는 사회민주주의(social democracy)와 민주사회주의(democratic socialism)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했다. 용어 구분도 힘들었다. 블로그를 시작하고 관련 책과 에세이를 접하면서 조금씩 감이 잡히고 이번 번역을 통해 상당 부분 구별적 인식이 가능해졌다고 말할 수 있는데, 이 두 정치에 대한 초기 나의 구분법은 항상 중요한 것은 나중에 등장한다는 경험에 따라 사회민주주의는 민주주의에 방점이 그리고 민주사회주의는 사회주의에 방점이 찍혔다는 단순 구분이었다. 지금도 이 단순 구분법은 일정 ..

세상 이야기 2021.08.18

자본주의 사회 내 사회주의 이전은 진정 불가능할까? - 대안시리즈 14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이 있읍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이전 블로그 ‘사회민주주의를 뛰어넘어(上, 下)’는 비록 1985년도에 쓰인 에세이지만 저자들의 고민 -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사회주의를 어떻게 태동시키고 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 은 35년이 지난 2020년 현재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이자 화두다. 에세이 저자들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혁명적 개혁주의(revolutionary reformism)’ 개념을 도입한다. 가슴은 뜨거운 열정으로 혁명을 지향하되 머리는 냉정하게 자본주의 사회 내 개혁에 충실하자는 원칙적 논리다. 저자들도 이 원칙은 각 나라마다 다양한 형태로 발현..

세상 이야기 2020.08.04

‘브롱스 클라쓰’ㅡ '의사당을 무너트려라! (Knock down the House!)' - 대안시리즈 12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이 있읍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이번 주 휴가라 나름 시간을 느긋하게 즐겼다. 느긋한 시간 보내기 목록 중에 드라마 한 편 보기도 포함되어 있어서 그동안 볼까 말까 망설였던 ‘이태원 클라쓰’를 마음먹고 보았다. 이런 류의 연작 드라마는 재미있고 없음을 떠나 보는 중 막장임을 알아도 결과는 알고 싶기에 중간에 끊지 못하고 끌려다니다시피 하더라도 끝까지 갈 수밖에 없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기에 망설였지만 시간적 여유로움이 이 망설임보다 강했다. 결과적으로 나의 인생을 바꿀만한 인생작은 아니었지만 나름 탄탄한 스토리 전개를 한 드라마였다. 특히 내가 남성이라 그런지 ..

세상 이야기 2020.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