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이민 4

한국 사회로의 이민자/난민 유입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 아프간 난민 사태를 보면서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 잊을만하면 꼭 새벽에 전화하는 전 남자친구처럼 한국 사회를 찾아오는 사회적 이슈가 있다. 뉴질랜드만큼은 아니지만, 한국도 갈수록 이민 관련 이슈들이 한국 사회에 찾아오곤 한다. 이번 한국 관련 단체/조직에 관여했던 아프가니스탄 난민의 한국 입국 추진은 다시 한번 난민/망명을 포함한 저소득 국가 출신 이민자, 특히 무슬림,에 대한 한국 사회의 ‘수용성’ (receptiveness)이라는 껄끄러운 주제에 다시 한번 한국 사회구성원을 직면하게 했다. ‘특별기여자(persons of special merit)”라는 이름과 더불어 난민과 다른 법적 카테고리까지 신설하면..

한국 이야기 2021.08.29

뉴질랜드 이민 정책 둘러보기 (上)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2009년 3월, 당시 한국의 대통령이었던 이명박이 뉴질랜드를 방문해 교민간담회를 가졌던 적이 있었다. 직접 참석하지도 않았고 전해 들은 데다가 시간이 꽤 흘러 기억이 가물거리는데 아직도 기억에 남는 일화가 있다. 모두 연설 후 교민과의 대담 시간에서 한 교민이 뉴질랜드 이민법을 완화시켜서 한인 교민들이 늘어날 수 있게 해달라고 건의를 했는데 이에 대해 이명박은 그 건 뉴질랜드 정부 소관이라고 딱 선을 그어 답했다고 한다. 입만 아니라 정신도 비뚤어진 이명박이지만 이 대답만큼은 입바른 소리를 했고 반면 뉴질랜드 한국교민의 뉴질랜드 이..

‘버려도 되는 가벼운 추억만 서로의 가슴에 만들기로 해요?’ - 1.5세대 이야기(2)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한국으로 돌아가는 1.5세대들 2001년부터 2011년 기간, 뉴질랜드 출신 해외 체류 한국인의 숫자는 29배 증가했으며 2011년 기준, 6,004명의 Korean New Zealander가 한국에 살고 있는 것을 밝혀졌다. 뉴질랜드 거주 교민 대비 해외 체류민 비율은 옆 나라 호주 교민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상당수는 1.5세대로 추정되는데 왜 이렇게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것일까? 1세대가 한국에서 뉴질랜드로 이민 올 때 push factors와 pull factors가 있었듯이 이들이 다시 한국으로 돌..

뉴질랜드의 아시아화 (The Asianisation of Aotearoa)

*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느 정도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를 권장합니다. 뉴질랜드의 아시아화 (The Asianisation of Aotearoa) 이민 영향(Immigration Impacts) Paul Spoonley 정착민 사회로서 뉴질랜드는 두 가지를 반영하는 특별한 국가건설(nation-building) 프로젝트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주 식민자들이 영국(UK)과 아일랜드에서 왔다는 사실; 그리고 ‘남태평양의 영국’을 건설하려는 욕망. 이 프로젝트의 핵심에는 이 나라의 인구 구성을 상당 부분(그리고 거의 배타적으로) 특정 그룹에 한정시키려는 인종적 프로젝트가 있었다. 이 프로젝트를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