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버니 샌더스 6

버니 샌더스의 민주사회주의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25)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아랫글은 버니 샌더스가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경선에 참여하며 유세 과정에서 행한 연설문이다. 2019년 6월 12일, 조지 워싱턴대학교에서 행한 이 연설의 원문은 중도좌파로 알려진 미디어 Vox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전에도 민주사회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버니 샌더스였는데, 2019년의 이 연설이 각별히 주목을 받은 이유는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젊은이를 중심으로 사회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의 입으로 민주사회주의(Democratic Socialism)를 처음으로 ‘정의’했기 때문이다. ​ 그의 연설문은 19..

세상 이야기 2021.11.21

왜 사회주의는 민주사회주의가 될 수밖에 없는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14)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창피한 이야기이지만 사실 블로그를 시작하기 전까지 나는 사회민주주의(social democracy)와 민주사회주의(democratic socialism)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했다. 용어 구분도 힘들었다. 블로그를 시작하고 관련 책과 에세이를 접하면서 조금씩 감이 잡히고 이번 번역을 통해 상당 부분 구별적 인식이 가능해졌다고 말할 수 있는데, 이 두 정치에 대한 초기 나의 구분법은 항상 중요한 것은 나중에 등장한다는 경험에 따라 사회민주주의는 민주주의에 방점이 그리고 민주사회주의는 사회주의에 방점이 찍혔다는 단순 구분이었다. 지금도 이 단순 구분법은 일정 ..

세상 이야기 2021.08.18

자본주의 사회 내 사회주의 이전은 진정 불가능할까? - 대안시리즈 14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이 있읍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이전 블로그 ‘사회민주주의를 뛰어넘어(上, 下)’는 비록 1985년도에 쓰인 에세이지만 저자들의 고민 -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사회주의를 어떻게 태동시키고 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 은 35년이 지난 2020년 현재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이자 화두다. 에세이 저자들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혁명적 개혁주의(revolutionary reformism)’ 개념을 도입한다. 가슴은 뜨거운 열정으로 혁명을 지향하되 머리는 냉정하게 자본주의 사회 내 개혁에 충실하자는 원칙적 논리다. 저자들도 이 원칙은 각 나라마다 다양한 형태로 발현..

세상 이야기 2020.08.04

오카시오 코르테즈와 제신다 아던의 차이 - 선거 시리즈 1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알려드립니다. 다음(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제대로 된 교정/편집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Judith Collins가 국민당 당수가 된 후 처음으로 7월 15일 시행된 차기 수상 선호도 여론 조사에서 쥬디스 콜린스는 5월 당수가 되기 전 3.1%에서 22.6%로 급상승했지만 제신다 아던은 60.8%로 여전히 난공불락의 압도적인 선호도를 기록했다. 그리고 쥬디스 콜린스가 당수가 되기 이전 6월 지지 정당 여론 조사에서도 노동당은 54.5%를 기록하면서 27.0%를 기록한 국민당을 두 배 이상 앞서 나갔다. 제신다 아던은 현재 꽃길만으로도 부족해 그 길을 꽃가마를 타고 걷는 모양새다. 하지..

민주사회주의를 생각한다 - 대안시리즈 11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이 있읍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아래 글은 Gregory Smulewicz-Zucker and Michael J. Thompson가 편집한 An Inheritance for Our Times: Principles and Politics of Democratic Socialism (우리 시대의 유산: 민주사회주의의 원칙과 정치학)이라는 신간에 대한 서평이다. 이 블로그에서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이후의 세계에 대한 대안으로 어쩌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사회 정치 제도로서 ‘민주사회주의’에 대한 개관을 보여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각 챕터의 저..

세상 이야기 2020.07.13

자본주의, 한계를 노출하다 - 코로나바이러스 시리즈 8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아랫글을 통해 미국의 철학자이자 젠더 이론가인 Judith Butler는 미국의 코로나바이러스 창궐로 현재 미국 내 사회적 약자들이 큰 희생을 치르고 있고 앞으로 더 큰 희생이 예상되는 가운데 같은 시기에 진행 중인 대통령 선거 캠페인에서 후보 중 한 사람인 민주당의 Bernie Sanders가 주창한 보편적 보건진료 정책의 도입 필요성을 설파하며 보건진료 부분에서 만큼은 자본주의를 벗어나 사회주의 혹은 사회민주주의적 접근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본주의, 한계를 노출하다 (Capitalism Has..

세상 이야기 2020.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