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민주사회주의 46

Be Realistic, Demand the Impossible. 아나키즘과 민주사회주의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11)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소개말 ​ 개인적으로 이번 에세이를 매우 흥미롭게 읽었다. 편저자의 서론 빼고 지금까지 10편의 에세이를 읽고 번역했는데 대부분 나에게 새로운 가르침과 시각을 제공해주었기에 감사하게 읽었지만 그중에는 큰 흥미를 갖지 못한 에세이도 있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반면 이번 에세이는 내가 그런 게 있었지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었던 아나키즘(anarchism) 그 자체와 막시즘과의 연결고리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요약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아나키즘이 왜 민주사회주의 담론에서 빠질 수 없는지를 알게 해 주었기 때문이다. ​ 사실, 처음 이 에세이의 제목을 접하고 민주사회주의 담론 ..

세상 이야기 2021.08.06

폭력적 전복인가 평화적(?) 정권교체인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10)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소개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 로히니 헨스만(Rohini Hensman)은 스리랑카 타밀족 출신 이민자로서 현재 인도에 거주하며 저작 활동과 사회활동가로서 일하고 있다. 여러 저자의 기고문을 편집한 이런 종류의 책의 장점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저자들의 삶을 단편적으로라도 들여다보게 되면서 주제에 대해 더욱 풍성하고 입체적 - 지역, 젠더, 접근 방식 등 - 이해를 하게 된다는 점이다. 일단 저자는 여성이다. 그리고 스리랑카에서도 차별받는 소수 민족 타밀족이다. 또 가깝지만, 타밀족과는 일정 긴장 관계에 있는 인도에서 이민자로 살고 있다. 여성으로서 성차별에 대한 저..

카테고리 없음 2021.07.31

민주사회주의자의 필수 덕목, '동료애(fellowship)'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9)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 Geoffrey Kurtz는 뉴욕에 있는 Borough of Manhattan Community College(BMCC)에서 정치이론과 사상사를 가르치고 있다. 교수로서 그에 대한 평가가 궁금해서 RMP(Rate My Professors)을 검색해보니 4.3이다. 평균 rate가 얼마인지 모르지만, 절대적 평가 기준으로서는 상당히 높은 점수다. ​ 이번 그의 에세이는 이전 에세이와 달리 민주사회주의의 이론- 저자의 표현을 따르면 청사진(blueprint) 혹은 프로그램(program) -에 대한 탐구가 아니라 이 이론과 신념을 따르는 ..

세상 이야기 2021.07.24

사회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리버럴 정치제도의 상관관계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8)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소개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 Peter Hudis는 미국 시카고에 있는 Oakton Community College의 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재 14권 예정의 로자 룩셈부르크 전집(The Complete Works of Rosa Luxemburg)의 주 편집자로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여담이지만 지난 2년 관련 글들을 읽으며 맑스 만큼 많이 등장하는 인물이 로자 룩셈부르크인데 그만큼 21세기 새로운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많은 이들에게 로자의 생각과 통찰력은 계속 곰 씹게 하는 깊이와 예지력이 있다는 느낌이다. ​ 이번 에세이가 책의 8번째 에세이다. 어떤..

세상 이야기 2021.07.22

21세기 사회주의의 관건, 직장 내 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7)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좀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원하는 분에게는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 리처드 울프(Richard D. Wolff)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립대학의 경제학과 명예교수이며 막시스트 경제학자로 알려졌다. 한국어로 번역된 그의 책도 3권이 있는데 미국에서도 각종 미디어를 그의 생각을 전파할 용도로 활발히 이용하면서 뉴욕타임즈 잡지로부터 미국에서 가장 저명한 막시스트 경제학자라는 호칭을 받았다. 이처럼 대중을 의식해서인지 그의 이번 에세이는 대단히 평이한 문체로 쓰여서 지금까지 번역한 에세이 중 가장 수월하게 번역할 수 있었다. 더불어, 사회주의의 변천사에 대한 짧지만, 매우 효과적인 그의 서술 덕분에 다른 어느 에..

세상 이야기 2021.07.16

차이 나는 개인 능력과 평등의 원칙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6)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 Philip Green은 미국의 정치이론가로서 매사추세츠 주 Smith College의 명예교수이기도 하다. 미국의 자유주의적 다원주의 그리고 대의 민주주의의 퇴보에 대한 많은 저작을 남겼다. 다른 에세이에 비해 많은 문단과 문장이 이번 번역에서 생략되었다. 이유는 첫째, 영어 능력의 문제인지 지적 능력의 문제인지 몰라도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은 억지 번역을 하느니 과감히 생략하였다. 두 번째, 저자가 말하려는 바는 알겠지만, 자의적 판단에 주제의 집중화에 불필요하다고 생각..

세상 이야기 2021.07.14

민주사회주의에서 도시의 모습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5)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 레스터 스펜스(Lester Spence)는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시에 있는 존스 홉킨스 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에서 정치학과 아프리카학을 가르치고 있다.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과 미국 내 인종 문제, 도시 정치학 그리고 경찰 폭력에 대한 평론과 연구로 알려져 있다. 이 에세이에서도 그의 이 관심사가 그대로 반영되어 그가 사는 볼티모어 시를 중심으로 미국의 도시들에서 이루어지는 흑인들에 대한 인종차별을 주거 측면에서 경찰 폭력 측면에서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복지정책 측면에서 비..

세상 이야기 2021.07.08

민주사회주의에서 완전한 자유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4)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는 동독 출신 정치인이자 민주사회주의자 그레고어 기지(Gregor Gysi)이다. 독일 재통일이 이루어지던 1990년 전후 민주사회주의당 (PDS:Party of Democratic Socialism)의 지도자였으며 현재도 PDS의 후신인 좌파당(The Left: DIE LINKE)의 유력 정치인으로 활동 중이다. 자유와 민주사회주의(Freedom and Democratic Socialism) ​ Gregor Gysi ​ ​ 정치인으로서 나는 항상 민주사회주의 사상을 위해 싸워왔다. 그것은 내 당에서도 시행..

세상 이야기 2021.07.05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3)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소개말 ​ 이번 에세이의 저자 Stephen Eric Bronner는 미국 뉴저지, 럿거즈 (Rutgers) 대학의 정치학 교수로 비판이론, 실존주의 그리고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에세이에서 인용된 ‘계급 이상(class ideal)’ 그리고 ‘세계시민적 감성 (cosmopolitan sensibility)’은 그가 생성한 개념이다. ​ 개인적으로 서론 포함 지금까지 읽은 이 책의 에세이 중 가장 숨차게 읽은 에세이다. 숨차게 읽었다는 의미는 내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처음 접했기에 ..

세상 이야기 2021.06.30

사회주의 미국을 꿈꾸다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2)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저자 Fernando E. Gapasin은 현재 University of Oregon에서 교수를 하는 동시에 본인 표현대로 지역 노동운동 활동가로 일하고 있다. 소위 이론가이자 실천가인 셈이다. 저자의 이런 입장을 반영하듯 이 에세이는 미국 내 사회주의 운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 자신의 주관적 경험과 객관적 이론을 종합하여 접근한다. 사회주의 운동의 이해에서 나 같은 입문자에게는 아무래도 사회주의 운동의 본산이라고 할 수 있는 유럽보다는 자연스러이 시선이 덜 가는 미국 상황이지만 아직도 세계적 패권 국가로서의 위상이..

세상 이야기 2021.06.23

물질적 평등, 그 이상의 것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1)

(네이버포스트)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 저자 Michael J. Thompson은 책의 공동 편집자로서 미국 뉴저지에 있는 William Paterson University의 정치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대 사회가 개인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형성하는지를 탐구하는 철학자이자 비평 이론가이다. 이 에세이는 철저한 고증과 논리에 입각한 학문적 논문이라기보다는 저자의 지론을 의식의 흐름에 따라 서술한 형식으로 나에게 비추어졌다. 따라서 독자는 저자의 의식 흐름을 잘 따라가야 그의 논지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데 나와 같은 입문자에게는 쉽지 않은 과제..

세상 이야기 2021.06.21

민주사회주의는 부활하는가? - 민주사회주의 이해하기 (서론)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An Inheritance for Our Times: Principles and Politics of Democratic Socialism (우리 시대의 유산: 민주사회주의의 원칙들과 정치학) Introduction (소개말)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지금처럼 소수 권력이 다수를 상대로 해진 적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어떤 왕도 교황도 그리고 (미국) 남북전쟁 후 호황기 산업계의 어떤 거물들도 우리 시대의 경제 엘리트들처럼 전 세계적 차원에서 인류의 운명을 재조직하고 결정하는 권력을 가져 본 적이 없다. 20세기, 소수를 위한 끝나지 않는 잉..

세상 이야기 2021.06.15

블로그 변화 그리고 '민주사회주의' 번역 프로젝트 시작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 수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 나은 교열과 가시성/가독성을 갖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블로그 변화 지난 5월 28일, 마지막 포스팅을 한 후 약 2주 동안 매달린 작업이 있었다. 다름아니라 지금까지 DAUM의 ‘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블로그를 통해서 포스팅한 대부분 글 - 마지막 포스트 포함 - 을 새로 만든 NAVER 블로그로 복사해 옮기는 작업이었다. 만 2년 가까이 사용한 DAUM 블로그이지만 아주 기본적인 편집기능조차 제대로 작동해주지 않는 까닭에 더 이상 불필요한 곳에 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참기 힘들어 NAVER에 같은 타이틀을 가진 블로그를 신설했다. 네이버는 지난 2주 사용해본 결과 워낙 상..

세상 이야기 2021.06.11

자본주의 사회 내 사회주의 이전은 진정 불가능할까? - 대안시리즈 14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이 있읍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이전 블로그 ‘사회민주주의를 뛰어넘어(上, 下)’는 비록 1985년도에 쓰인 에세이지만 저자들의 고민 -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사회주의를 어떻게 태동시키고 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 은 35년이 지난 2020년 현재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이자 화두다. 에세이 저자들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혁명적 개혁주의(revolutionary reformism)’ 개념을 도입한다. 가슴은 뜨거운 열정으로 혁명을 지향하되 머리는 냉정하게 자본주의 사회 내 개혁에 충실하자는 원칙적 논리다. 저자들도 이 원칙은 각 나라마다 다양한 형태로 발현..

세상 이야기 2020.08.04

민주사회주의를 생각한다 - 대안시리즈 11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이 있읍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아래 글은 Gregory Smulewicz-Zucker and Michael J. Thompson가 편집한 An Inheritance for Our Times: Principles and Politics of Democratic Socialism (우리 시대의 유산: 민주사회주의의 원칙과 정치학)이라는 신간에 대한 서평이다. 이 블로그에서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이후의 세계에 대한 대안으로 어쩌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사회 정치 제도로서 ‘민주사회주의’에 대한 개관을 보여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각 챕터의 저..

세상 이야기 2020.07.13

누가 사회주의를 두려워하는가? - 대안시리즈 8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작년 6월 블로그를 시작할 때 - 벌써 1년이 다 되어간다 - 애초 목적은 뉴질랜드 사회에 대한 좀 더 깊은 사회학적 이해와 개인적으로 소수민족 이민자인 관계로 뉴질랜드의 ethnic relations - 에스닉그룹 간 갈등과 사회적 융합 등 - 그리고 더불어 모국 한국의 다문화/다인종화 현상을 중심으로 현 사회 이슈들(current issues)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대해 생각해 보려는 것이었다. 초반 그런 흐름으로 흘러가던 차에 코로나바이러스가 터지면서 이 블로그도 일순간 코로나 쓰나미에 휩쓸려 들어가게..

세상 이야기 2020.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