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역사, 인간 그리고 뉴질랜드

세상 이야기 125

사회민주주의를 뛰어넘어 (上) - 대안시리즈 13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이 있읍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대안 시리즈의 관심 중 하나는 사회민주주의(social democracy)와 민주사회주의 (democratic socialism)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함으로써 21세기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이후 우리가 지향하는 사회의 모습과 그 정치적 실현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이다. 사회민주주의는 방점이 뒷 글자 민주주의에 찍힘으로써 현재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 일반인들에게 거부감이 덜 들고 덜 과격하다는 이미지를 줄 수 있는 반면 민주사회주의는 비록 앞에 민주라는 글자가 있지만 뒷글자 사회주의에 방점이 찍힘으로..

세상 이야기 2020.07.24

‘브롱스 클라쓰’ㅡ '의사당을 무너트려라! (Knock down the House!)' - 대안시리즈 12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이 있읍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이번 주 휴가라 나름 시간을 느긋하게 즐겼다. 느긋한 시간 보내기 목록 중에 드라마 한 편 보기도 포함되어 있어서 그동안 볼까 말까 망설였던 ‘이태원 클라쓰’를 마음먹고 보았다. 이런 류의 연작 드라마는 재미있고 없음을 떠나 보는 중 막장임을 알아도 결과는 알고 싶기에 중간에 끊지 못하고 끌려다니다시피 하더라도 끝까지 갈 수밖에 없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기에 망설였지만 시간적 여유로움이 이 망설임보다 강했다. 결과적으로 나의 인생을 바꿀만한 인생작은 아니었지만 나름 탄탄한 스토리 전개를 한 드라마였다. 특히 내가 남성이라 그런지 ..

세상 이야기 2020.07.19

슬라보예 지젝(Slavoj Žižek) 엿보기

구체적 대안의 제시 없이 기존 사상 조류에 대한 신랄한 비판만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는 지젝이지만 그의 거침없는 언변과 그를 뒷받침하는 그의 종횡무진 폭넓은 지식은 그를 드물게 철학계의 셀럽(Celebrity)으로 만들었다. 그의 이론은 내 블로그에서도 몇 번 인용을 했는데 이번 기회에 그의 생각을 단편적으로나마 엿볼 수 있는 비디오 클립들을 소개한다. 지젝에 대한 전반적 소개를 하는 글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글 소개 (위키 백과) 영어 소개 (Wikipedia) 영어 소개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먼저 소개할 비디오 클립은 캐나다의 임상심리학자이자 미디어에도 많이 노출된 조던 피터슨(Jordan Peterson)이 2019년 4월 지젝을 토론..

세상 이야기 2020.07.13

민주사회주의를 생각한다 - 대안시리즈 11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이 있읍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아래 글은 Gregory Smulewicz-Zucker and Michael J. Thompson가 편집한 An Inheritance for Our Times: Principles and Politics of Democratic Socialism (우리 시대의 유산: 민주사회주의의 원칙과 정치학)이라는 신간에 대한 서평이다. 이 블로그에서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이후의 세계에 대한 대안으로 어쩌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사회 정치 제도로서 ‘민주사회주의’에 대한 개관을 보여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각 챕터의 저..

세상 이야기 2020.07.13

경찰은 과연 필요한 집단일까? - 경찰 이야기 마지막회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daum) 블로그의 한계로 교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조지 플로이드 사건을 계기로 경찰이라는 국가 기관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 제기와 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탐구로 경찰 시리즈를 마무리하려 한다. 신자유주의 자본주의로 말미암아 사회적으로 빈부 격차가 심해지면서 경찰의 폭력도 증가한다는 각종 보고들은 우리로 하여금 사회 체제가 불안정할수록 그 체제 유지를 위한 국가 무력의 사용 빈도와 강도가 증가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한다. 경찰은 과연 필요한 집단일까? 이런 질문을 던진다면 많은 이들은 “아무리 경찰이 미워도 눈 앞의 도둑이나 폭력배를 막아줄 존재는 경찰밖에 없는..

세상 이야기 2020.07.02

나바호 눈물의 길, 아일랜드 대기근, 한국 전쟁, 코로나바이러스 그리고 뉴질랜드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으로,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한국 정부가 한국 전쟁에 참여한 미국 원주민 나바호 부족(Navajo Nation) - 참고로 나바호 부족에게는 뉴질랜드 마오리처럼 iwi보다는 영어 nation이 적당한 이유가 이들에게는 마오리와 달리 인디언 보호구역 (Indian Reservation)으로 알려진 자치령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자치령은 제한된 자치권일 뿐 크게는 미국 연방정부의 법령 하에 있다 - 에게 70년 전 한국 전쟁 참전에 대한 보은의 표시로 마스크 및 기타 PPE를 보내 주었다는 소식은 이미 들어서 알고 있었는데 오늘 관련 소식을 검색하다 나바호 부족에게 같은 ..

세상 이야기 2020.06.11

다른 에스닉 그룹 멤버와 서로의 ethnicity에 관해 얘기하는 자세에 관하여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으로,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과거에 알고 지내던 중국 교민과 인도 교민에게 그들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에 대해 대화를 조심스럽게 시도한 적이 있다. 그들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 내용은 명시하지는 않겠다. 이유는 이전 포스팅 ‘Stereotype에 대한 Stereotype’ 에서 언급했듯이 스테레오타입의 공표는 어떤 목적이든지 간에 자칫 그 스테레오타입의 재생산과 견고화라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내가 가진 중국인과 인도인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은 주변 지인들과 얘기를 하면서 대동소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심스럽게 대화를 시작한 것은 이들에 대한 스테레오..

세상 이야기 2020.06.09

실행 가능한 사회주의 시스템은 어떤 모습일까? - 대안시리즈 11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으로,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블로그 대안 시리즈의 가장 큰 화두는 자본주의 이후 사회주의적 가치를 실현하는 사회의 모습이다. 이 화두를 염두에 두고 이런저런 article들을 읽고 그 중 공유하고 싶은 글들은 번역하기도 하는데 이런 나의 마음을 꿰뚫고 있는 듯한 글이 jacobin에 올라왔다. 필자 Ben Burgis는 철학 교수인데 이 글이 올라온 후 독자들로부터 엄청난 반응이 있어 며칠 뒤 follow-up 기고문을 또 올렸다. 나와 같이 새로운 사회의 모습에 목말라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증거가 아닐까 싶다. 이후 글도 시간 나는 대로 번역할 생각이다. ==..

세상 이야기 2020.05.29

코로나바이러스에서 벗어나는 길은 그린 뉴딜(Green New Deal)이다 - 대안시리즈 10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으로,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이후 자주 듣게 되는 용어들이 있다. ‘뉴 노멀(New Normal)’과 더불어 ‘그린 뉴딜(Green New Deal)’도 그 중 하나다. 한국에서도 디지털 뉴딜과 더불어 ‘그린 뉴딜’이 팬데믹 이후 한국판 뉴딜 정책의 핵심이 되고 있는 듯하다. 그린 뉴딜 관련 나의 관심사는 이 프로젝트가 기본적으로 팬데믹 이후 경기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를 통한 경기부양(economic stimulus)의 수단이 필요한 시점에서 정부가 ‘이왕이면’ 언젠가 직면해야 할 지구 온난화 억제 대책을 계제에 행동으로 옮김으로써 ..

세상 이야기 2020.05.22

혁명의 기운이 지금 느껴진다. 하지만 구질서는 반격할 것이라고 역사는 말한다

**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 블로그의 수정/편집 어려움으로,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위해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아래 기고문은 The Guardian에 실린 글로 영국의 상황을 무대로 팬데믹 이후 새로운 세계에 대한 강한 열망도 화장실 갔다 오기 전과 후가 다른 것처럼 팬데믹의 막판을 향해 가는 즈음에서 수구 세력에 의해 사그러질 수 있음을 경고한다. 그런데 전체적 그래프로 보면 대세 하락 - 정점에서는 하루 1천명 이상이 사망했다 - 막판이라고 할 수 있을 지 몰라도 인구 약 6천7백만 명의 영국(UK)은 5월 21일 현재도 하루 확진자 수가 2,615명 그리고 사망자 수가 338명을 기록 중일 정도로 한국이나 뉴질랜드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세상 이야기 2020.05.22

마스크는 되고 부르카는 안된다고?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Al Jazeera에 흥미로운 주제의 기고문이 올라와 번역과 더불어 내 의견을 첨부한다. 이전 포스트 (웍비자 노동자가 수상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에서도 내 스탠스를 설명했는데 많이 리버럴 해졌지만 나는 소수 민족 이민자로서 내 정체성을 잊지 않고 있다. 아니 잊을 수가 없다. 며칠 전에도 내가 이민 올 때 태어나지도 않았을 파케하로 보이는 백인 청년들이 차로 지나가면서 조깅 중 인도에서 잠시 쉬던 나에게 창문을 내리고 낄낄대며 소리 지르며 지나갔다. 이런 경우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미들 핑거..

세상 이야기 2020.05.21

Airbnb? Nope! Fairbnb.coop - 대안시리즈 9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어제 (5월 14일) 노동당 정부는 2020/2021 회계년도 예산을 발표했다. 이번 예산은 그 규모 면에서 역대급임에도 혁명적은 아니어도 변혁적(transformative) 사회개혁을 위한 전향적 예산편성이 되길 기대한 많은 좌파 혹은 진보측 인사들에게 실망감, 고통이 아니라면, 을 안겨주었다. 이 블로그에서도 펜데믹 이후의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기 위해 경제와 사회를 리셋(reset)할 필요가 있다는 많은 commentators의 글을 이미 옮긴 바 있다. 마찬가지로 빅토리아 대학의 정치학자 Bryc..

세상 이야기 2020.05.15

코로나바이러스 그리고 인종차별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전 세계에서 다양한 인종 차별적 현상이 보고 되고 있다. 미국에서 흑인은 이번 팬데믹에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비해 불균형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서국 각지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근원지로 중국이 지목되면서 중국인뿐만 아니라 비슷한 외모의 아시안들에 대한 폭력적 인종차별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 뉴질랜드는 5월 14일 현재 누적 확진자 1,497명을 기록했는데 확진자 기준으로 보았을 때 소수민족이 코로나바이러스에 불균형적으로 피해를 당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세상 이야기 2020.05.14

누가 사회주의를 두려워하는가? - 대안시리즈 8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머리말 작년 6월 블로그를 시작할 때 - 벌써 1년이 다 되어간다 - 애초 목적은 뉴질랜드 사회에 대한 좀 더 깊은 사회학적 이해와 개인적으로 소수민족 이민자인 관계로 뉴질랜드의 ethnic relations - 에스닉그룹 간 갈등과 사회적 융합 등 - 그리고 더불어 모국 한국의 다문화/다인종화 현상을 중심으로 현 사회 이슈들(current issues)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대해 생각해 보려는 것이었다. 초반 그런 흐름으로 흘러가던 차에 코로나바이러스가 터지면서 이 블로그도 일순간 코로나 쓰나미에 휩쓸려 들어가게..

세상 이야기 2020.05.12

또다시 마스크 이야기, 그리고...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또다시 마스크 이야기 며칠 전 이번 코로나바이러스 대처 관련 서구에서 마스크가 그동안 얼마나 친숙하지 않았던 생활용품였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해프닝이 있었다. 벨기에의 담당 장관이 마스크를 만드는 웍숍 - 기계를 통한 대량 생산이 아니라 바느질 수작업을 통한 천 마스크 생산이기에 factory가 아니라 workshop - 에 직원들 격려차 방문해서 마스크를 직접 써보는 기회를 가지는데 아래 사진처럼 마스크를 처음 써보는 사람이란 걸 인증하게 된다. 아무리 마스크를 처음 써봐도 저렇게 센스가 없나 싶다. 하지만 역..

세상 이야기 2020.05.07

국가가 무너지는 자본주의를 구하려 한다 - 대안 시리즈 7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아랫글은 In Defence of Marxism에 올려진 기고문이다. 현재 팬데믹을 맞이해서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이 행하고 있는 조치들에 대한 개괄적 소개와 더불어 이들의 한계를 설명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자본주의 경제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계획경제에 대한 언급이 간단하게만 언급된 것이 아쉽지만 이 글의 주 초점이 아님을 알기에 다음 기회로 넘긴다. 국가가 무너지는 자본주의를 구하려 한다 (The state attempts to rescue collapsing capitalism..

세상 이야기 2020.05.01

어떤 정당이 우리에게 필요할까? - 대안 시리즈 6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지난 몇 달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이슈들로 블로그가 채워지고 있다. 이전부터 사회학적 주제에 대해 관심이 있던 차에 이번 팬데믹은 나로 하여금 사회학의 주요 주제라 할 수 있는 계급,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그리고 대안적 사회주의 등의 개념에 대해 정면으로 부딪치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날이 갈수록 독서와 사고에서 긴 호흡이 잘 안된다는 것을 핑계로 상대적으로 쉽게 소화하기 쉬운 짧은 article 혹은 essay 형식의 글만을 선별 섭렵하는 경향을 보인다. 깊이가 없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는 건강..

세상 이야기 2020.04.30

경제 계획은 시장이 무시한 필요를 충족시킨다 - 대안시리즈 5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자본주의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모든’ 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시장에 맡긴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번 팬데믹에서 보았듯이 마스크와 진단키트는 코로나바이러스 피해국의 자본가들이 자국 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공급에서 전혀 존재감을 발휘하지 못한 채 국가에 그 역할을 넘겨 버렸다. 이처럼 국가가 국민에게 필요한 상품의 공급에 어느 정도 개입하는가는 지난 세기에 이어 이번 세기에도 여전히 핵심적 이슈가 되고 있는 듯하다. 개인적으로 계획 경제(planned economy)는 한국에서 국민학교 시절 반공..

세상 이야기 2020.04.28

팬데믹 이후 사회에 관한 역사의 교훈 - 대안 시리즈 4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아래 기고문은 The Guardian에 실린 글로 이전 포스트 ‘팬데믹 이후 세계의 모습은?’에서 인용된 글 중 하나이다. 글쓴이 Richard Power Sayeed는 1990년대 New Labour와 영국의 역사를 다룬 1997: The Future that Never Happened의 저자다. 이전 포스트의 글쓴이 Al Jazeera 정치평론가 Marwan Bishara와 이 글의 저자가 공통되게 지적한 것처럼 지금 세계는 극우파적 움직임과 좌파적 움직임이 이후 세계의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힘겨루..

세상 이야기 2020.04.27

팬데믹 이후 세계의 모습은? - 대안시리즈 3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Al Jazeera의 기고문 중 하나를 번역한다. 저자는 Al Jazeera 정치 평론가다. 실천적 관점에서 각론은 없지만 팬데믹 이후의 세계를 꿈꾸기 위해 이해해야 할 현 세계 동향에 대한 조감도적 이해를 제공해준다. 번역문에 있는 링크는 원저자의 링크다. 팬데믹 이후 세계는 어떤 모습이고 어떤 모습이어야 하나? (What would and should a post-pandemic world look like?) 탈미국, 탈리버럴 세계질서가 우리를 기다린다. 하지만 그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A p..

세상 이야기 2020.04.27

우리는 왜 혁명이 필요한가 - 대안시리즈 2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이전 포스팅에서는 막시스트 혹은 사회주의자의 현재 뉴질랜드 코로나바이러스 상황 전개에 대한 그들의 시각을 옮겼다. 이번 포스팅은 뉴질랜드 자체 사회주의자 모임인 International Socialist Organisation Aotearoa(ISO Aotearoa)에 게재된 기고문의 번역이다. 이 기고문은 미국의 사회민주주의자 Bernie Sanders가 경선 포기를 선언한 4월 8일 이전인 3월에 발표된 것이다. 사회주의자들은 버니 샌더스가 2016년에 이어 올해에도 경선에서 실패한 원인이 미국 민..

세상 이야기 2020.04.23

코로나바이러스는 왜 발생했을까? - 코로나바이러스 시리즈 11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같은 인수공통감염병(人獸共通感染病)을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가 (How to prevent outbreaks of zoonotic diseases like COVID-19) 우리는 인간의 침범으로부터 자연서식지를 보호하고 야생동물의 불법 거래를 막아야 한다. Maxwell Gomera 6 Apr 2020, Aljazeera 역자 머리말 저명한 경제지리학자(economic geographer) David Harvey가 주장한 것처럼 “자연(nature)”은 인간의 문화, 경제 그리고 일상생활과 떨어져 ..

세상 이야기 2020.04.09

갑자기 찾아 온 심판 (2) - 코로나바이러스 시리즈 10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3. 위기의 생산경제(The Overstretched Productive Economy) 우리가 주목했듯이 지난 40여 년에 걸쳐 만들어진 시간상으로, 공간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긴장된(overwrought) 생산시스템은 이미 심판의 시간을 지났다. 1995년 이후, 10여 년간 서구의 공급 체인은 지구를 반 바퀴 돌아 중국으로 연결되었는데, 서구 시장의 포화와 중국의 임금 인상을 포함한 여러 요인 때문에 2008년 금융위기 이전부터 이미 서구의 경제 성장은 더뎌진 상태였다. 게다가 2008년 이후 궁핍의 시대가..

세상 이야기 2020.04.07

갑자기 찾아 온 심판 (1) - 코로나바이러스 시리즈 9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저자 Radhika Desai는 캐나다 University of Manitoba의 교수로 정치학을 가르치면서 Geopolitical Economy Research Group의 디렉터로 일한다. 저자는 이 기고문을 통해 그동안 누적될 대로 누적된 자본주의의 모순, 특히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융자본주의가 더욱 기승을 부리며 통화정책을 통해 그 모순을 근근히 막아오던 서구 자본주의는 2020년 팬데믹을 맞이하여 더는 그 모순을 막을 방법이 없어 기대보다 빨리(?) 심판대에 오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비..

세상 이야기 2020.04.06

자본주의, 한계를 노출하다 - 코로나바이러스 시리즈 8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아랫글을 통해 미국의 철학자이자 젠더 이론가인 Judith Butler는 미국의 코로나바이러스 창궐로 현재 미국 내 사회적 약자들이 큰 희생을 치르고 있고 앞으로 더 큰 희생이 예상되는 가운데 같은 시기에 진행 중인 대통령 선거 캠페인에서 후보 중 한 사람인 민주당의 Bernie Sanders가 주창한 보편적 보건진료 정책의 도입 필요성을 설파하며 보건진료 부분에서 만큼은 자본주의를 벗어나 사회주의 혹은 사회민주주의적 접근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본주의, 한계를 노출하다 (Capitalism Has..

세상 이야기 2020.04.03

이번은 바꿀 수 있다 - 코로나바이러스 시리즈 7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역자 머리말 코로나바이러스 위기가 장기화함과 동시에 하루하루 상황이 변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시사적 상황에 대한 접근은 다른 미디어에 맡기고 이 블로그에서는 나의 관심사인 이 위기에 대한 역사적 사회적 의미에 대해 집중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사태의 진전을 보고 있노라면 꼰대 질이 되었든 조언이 되었든지 간에 참견하고 싶은 마음에 역자 머리말 지면을 빌려 현재 진행 상황에 대해 내 생각을 개진한다. 마스크 문제다. 3월 31일 자 온라인 미디어 newstuff 의 뉴스 (https://www.s..

세상 이야기 2020.04.02

코로나바이러스, 경제 우선 신화를 깨트리다 - 코로나바이러스 시리즈 6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경제 우선 신화를 깨트리다 (Coronavirus has shattered the myth that the economy must come first) The Guardian, 20 March 2020 Adam Tooze 역자 머리말 이 글은 Columbia University 내 European Institute의 Director로 근무하는 Adam Tooze가 3월 20일 자로 영국의 코로나바이러스 창궐과 그에 대한 영국 정부의 대처를 보면서 자신의 의견을 The Guardian에 기고한 내용이..

세상 이야기 2020.04.01

코로나바이러스 위기의 함의(含意) - 코로나바이러스 시리즈 5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위기의 함의 (The Probable Implications of the Coronavirus Crisis) 역자 머리말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아래 짧은 글들 모음은 각 필자가 이번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자신의 시각을 온라인의 서로 다른 플랫폼을 통해 기고한 글들을 사회학자이자 블로거인 Oleg Komlik이 자신의 블로거에 편집해서 올린 것을 번역한 것이다. 각 기고문의 상징적 내용을 발췌해서 올린 것이므로 단박에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다. 물론 번역의 조악성이 한 몫 거들지만. 참고로 글마다 기고..

세상 이야기 2020.03.31

이 또한 지나가겠지만 - 코로나바이러스 시리즈 4

* 안내드립니다. daum 블로그의 지속적 편집 에러로 교정/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열이 되었고 보다 나은 가시성/가독성을 가진 '네이버 포스트'(링크) 를 권장합니다. 이 또한 지나가겠지만 지난 한 주 몇 흥미로운 소식들이 전해졌다. 3월 26일, Jacinda Ardern은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힘든 시기에 essential services에 일하는 노동자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전하며 자신도 한때 슈퍼마켓 카운터에서 일했었음을 상기했다. 그러나 며칠 뒤 인터뷰에서 위험을 감수하며 일하는 슈퍼마켓 직원들에게 평상시보다 높은 급여가 지급되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대해서 ‘That will be for those supermarket operators(그것은 고용주가 결정할 문제..

세상 이야기 2020.03.31

세계를 멈추게 한 20페이지짜리 리포트 (2) - 코로나바이러스 시리즈 2

*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께 안내드립니다. 다음(daum) 블로그의 편집 에러와 한계로 교정/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같은 제목/내용의 '네이버 포스트'를 권장합니다. 완화(mitigation)냐 억제(suppression)냐? Imperial College COVID-19 Response Team에서 준비한 리포트에 등장하는 그래프들에 대한 이해는 현재 뉴질랜드의 코로나바이러스의 대책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저번 글에 이 리포트(‘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사망과 보건진료 수요를 줄이기 위한 비약품적 개입(NPIs)의 효과’(Impact of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s) to reduce COVID19 mortality and healthcare demand)..

세상 이야기 2020.03.26